본문 바로가기
알면좋은

불법피싱을 막기위해서 꼭 필요한 대응방법

불법피싱을 막기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해마다 피싱사고가 늘고있고, 그로인한 서민들의 경제적인 피해금액도 급증하고있습니다. 피싱은 전화나 문자등으로 피해자를 현혹시켜서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탈취하고 그것을 이용해서 금품을 뺏는 사기수법을 말합니다.


그외 간접적인 피해로는 광고성전화와 스팸메일, 명의도용등 다양한 피싱사기수법이 존재합니다. 점점 간교해지는 피싱사기수법에 대해서 막을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피싱사기는 대표적으로 보이스피싱이 있고 검찰청,금감원,우체국등 공공기관을 사칭해서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유출시켜서 피해자의 돈을 갈취합니다. 그리고 자녀나 부모의 신상정보를 미리 파악해서 피해자의 자녀를 납치하였다고 속여서 거금을 빼앗습니다. 


이러한 보이스피싱등의 유형은 워낙 다양해서, 연금,보험금환급,경품당첨,우편물반환등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서 피해자를 현혹시킵니다. 




요즘은 전자기기에 익숙하지않은 노인 뿐 아니라,전문직, 직장인의 경우에도 피싱사기에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서 정말 속기쉽다고 합니다.


피싱방지를 위해서 다음의 경우 두번세번 확인하는것이 중요합니다.


①은행,카드사등에 직접 전화를 해서 이메일이나 문자등으로 안내한 사항이 진짜인지 확인합니다.


②이메일, 문자, SNS 본문에 링크된 주소는 바로 클릭하지않고, 해당은행,해당카드사의 홈페이지주소를 인터넷창에 직접 입력해서 확인합니다.




③경품사이트등에 당첨되었다는 연락을 받더라도, 직접 해당회사에 전화로 확인해보고 가급적 중요한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는 절대로 알려주지않습니다.


④피싱이 의심되는 메일,문자,SNS는 경찰청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등에 신고하고 상담받습니다.


⑤은행이나 신용카드,현금카드등의 내역을 정기적으로 확인합니다.


⑥금융거래에 사용되는 컴퓨터,스마트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않았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정기적으로 백신으로 검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