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와 여성들의 안전귀가를 위한 '여성,학생 안전귀가 서비스'
를 활용하여 안심하고 안전귀가를 할 수 있습니다.
요즘처럼 흉흉한 세상에서 약자를 보호하기위해서
서울시와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취약시간대인 평일 밤 10시부터 새벽2시에 여성과 학생의
안전한 귀가를 도울 수 있습니다.
서비스지역과 이용방법,연락처를 정리했으며 자료출처는
여성가족부에서 참조했습니다.
서비스 지역 |
이용방법 |
연락처 |
서울시 |
지하철역,버스정류장 도착 30분전에 다산콜센터(전화:120)나 자치구 상황실로 전화하여서 신청함.
운영시간은 밤10시~익일01시 (토,일,공휴일은 제외)
위급상황시 서울시내에 있는 편의점(여성안심지킴이 마크표시된 638곳)으로 들어가서 안전을 위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음.
|
종로구(2148-1111).중구(3396-4001).용산구(2199-6300).성동구2286-6262.광진구450-1330.동대문구2127-4626.중랑구2094-2094.성북구2241-1900.강북구901-6112.도봉구2091-3109.노원구2116-3300.은평구351-8000.서대문구330-1119.마포구3153-8104.양천구2620-3399.강서구2600-1280.구로구860-252.금천구2627-2414.영등포구831-9736.동작구820-1040.관악구879-7640.서초구2155-8510.강남구3423-6000.송파구2147-2799.강동구3425-5009.
|
부산시 |
여성,노약자,청소년등이 심야시간 마을버스 이용시,정류소가 아닌 승객이 원하는 지점에 하차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귀가 지원함. |
부산광역시 대중교통과 051-888-3985 |
경기(안산,의정부,광명,구리,동두천) |
서비스 이용 20~30분전 이용자가 귀가서비스 전용전화로 신청
(구리시는 구리광역버스 정류장 하차 여성 이용) |
안산시청 당직실031-481-2222.의정부경찰서 동부치안센터031-846-1112.광명시 전용전화02-2682-0002.구리토평지구대031-552-0112.동두천시청031-860-2222.수호천사031-860-2710
|
전북(전주) |
3개 노인복지관(안골,서원,양지)부근 20개 초등학교 학생이 3개 노인복지관에 전화로 신청함. |
전주시063-281-2318.안골노인복지관063-243-4377.서원노인복지관063-639-6222.양지노인복지관063-232-1000.
|
경북(영주) |
서비스 이용 20분전 시청 당직실로 신청.
|
시청당직실054-639-6222 |
경남(양산) |
버스정류장 57개 등 다중교통시설에 부착된 귀가지킴이 전용전화번호로 신청함 . |
귀가지킴이전용010-2160-7914~26 |
서울의 경우에는 다산콜센터를 기억하면 좋을것 같네요.
어린 자녀가 학교에서 늦거나 여성들이 귀가가 늦을경우에
미리 신청해놓으면 안전귀가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사설 안전귀가서비스도 운용되는것같던데,
그만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많기때문입니다.
댓글